이벽李檗 세례자 요한 [출생1754 (영조 30) ~ 사망1785 (정조 9). 향년 33세] 조선 천주교에 문을 연 첫번째 사람. 조선후기의 학자. 독학으로 천주교 신자가 되고, 이승훈에게 베이징에 아버지를 따라가서 세례를 받고 오라고 권했다. 1784년 이승훈 베드로에게서 세레자 요한으로 한국에서 최초로 세례를 받았다. 이후 명례방에서 이승훈과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삼형제 및 권일신 부자를 가르쳤다.
아버지에 의해 집안에 감금된채 1785년 세상을 떠났다. 사망의 이유가 확실하지 않아서 순교자명단에 들지 못했다.
1979년 6월 21일 이벽의 묘를 폐묘 직전에 발굴. 사후195년 만에 권흥식 교수(해부학 교수)가 검시후 음독사망자(독살)로 확인.
조선 천주교에 문을 연 첫번째 사람. 이벽 세례자 요한
KBS 한국사전 – 닫힌 시대의 젊은 열정, 한국 천주교 창설 주역 이벽 / KBS 2007.12.22 방송
세계 유일의 자발적 발생, 한국 천주교
18세기 조선, 세계 기독교 역사상 유일무이한 일이 발생한다. 단 한 명의 외국인 선교사도 들어오지 않은 조선 땅에 천주교가 자발적으로 생겨난 것이다. 당시 조선은 성리학적질서 아래 모든 사회가 통제된 닫힌 사회였다. 젊은이들은 성리학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했다. 때마침 그런 그들에게 서구학문과 사상이 들어오는데....당시 중국을 통해 들어오던 서학을 받아들인 젊은 선비들. 그리고 그 선비들 중 하나였던 광암 이벽은 스스로 천주교를 받아들이고 이 땅에 천주교의 역사를 싹틔운다.
광암(曠庵) 이벽은 누구인가?
10세 남짓한 어린 시절부터 홀로 공부했던 이벽. 그의 천재성은 널리 알려져 있었다. 심지어 다산 정약용마저 그의 도움이 없었다면 [중용강의보]를 쓸 수 없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뜻한 바가 있었던 이벽은 과거의 뜻을 일찍 접는다.
이벽이 추구한 것은 조선사회의 근본적인 변혁이었다. 때문에 이벽은 유학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유학 외에 다양한 학문을 공부한다. 그 과정에서 서구의 학문을 공부하던 그는 스스로 천주교 교리를 깨우친다. 그리고 이벽은 마침내 천주교를 종교로서 받아들이는데....
이벽, 한국천주교사의 주역이 되다
경기도 광주군 앵지산 자락의 천진암. 1779년 겨울 이곳에서는 뜻을 같이하는 선비들이 모여 유교를 공부하는 강학이 열렸다.
강학이 한창 진행 중인 새벽, 이벽은 눈 덮힌 산을 넘어 선비들 앞에 나타난다. 그리고 이벽은 정약용, 정약전. 권철신과 같은 당대 선비들에게 천주교라는 사상을 전한다. 조선 최초로 영세를 받은 이승훈도 이벽의 권유로 북경에서 서양 선교사를 만나 세례를 받았다.
효(孝)인가, 신앙인가?
을사추조적발사건 이후 나라에서는 서학을 금지시켰고, 유교 윤리에 충실했던 문중들 역시 서학을 금지시킨다. 그러나 문중의 협박에도 신앙을 포기하지 않는 이벽을 보다 못한 이벽의 아버지는 이벽이 천주교와 결연하지 않으면 자결하겠다고 하는데....
효와 신앙, 아버지의 목숨과 종교적 믿음의 갈림길에 선 이벽이 내린 결론은 무엇이었을까?
- KBS 한국사전 – 닫힌 시대의 젊은 열정, 한국 천주교 창설 주역 이벽 / KBS 2007.12.22 방송
1785년 명례방 신앙집회 (명례방: 김범우 토마스의 집)
김범우 토마스의 집에서 이벽 세레자 요한이 스승이 되어 이승훈 베드로와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삼형제 및 권철신, 권일신 프란시스 자비에르 부자와 여러 신자가 공부했다. 이승훈 베드로가 천주교 박해과정을 기록한 '벽이편'에서 '설법하고 깨우쳐 주는 것이 우리 유교의 사제지간보다 훨씬 엄격했다'고 전한다.
1785년 봄 명례방 신앙집회는 형조의 관원들에 의한 불신검문으로 끝이 났다. 1785년 최초의 천주교 박해사건인 을사추조적발 사건이었다. 이때 압수된 천주교 교리서를 불태우고, 양반이 아닌 중인 신자들만 체포되었다.
이승훈 베드로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 , 정약정, 정약용 형제 유배형, 정약종 순교, 권철신 고문으로 사망, 권일신 유배도중 사망. 이벽과 그의 친구들은 천진암 성지에 잠들어 있다.
100년후 1898년 명례방 자리에 명동성당이 준공되었다.
그의 묘는 버려졌다. 사후 195년만에 폐묘직전 1979년에 발굴 되었다.
1979년 6월 21일 이벽의 묘 폐묘직전에 발굴
후손들은 이벽의 무덤의 위치를 알 수 없었다.
이벽의 치아가 검게 변색된 것을 발견, 사후195년 만에 검시 :
권흥식 교수(해부학 교수)가 검시후 음독사망자(독살)로 확인.
독살
가톨릭신문 (catholictimes.org)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aks.ac.kr)
이벽李檗 세례자 요한
이익(李瀷)을 스승으로 하는 기호학파 남인 집안. 독학으로 천주교 교리를 익혀 신자가 되었다. 조선 후기 주자학의 모순과 당시의 유교적 지도 이념이 흔들리고 있음을 깨달아 새로운 사상을 모색하던 중, 사신들을 통해 청나라로부터 유입된 서학서를 열독하였다. 당시 중국에 와 있던 서양 선교사들과 중국의 실학자 서광계(徐光啓) · 이지조(李之藻) 등이 저술한 한문으로 된 천주교 서적들은 천주교의 교리 · 신심 · 철학 · 전례와 아울러 서구의 과학 · 천문 · 지리 등의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벽은 과거시험을 포기하고 이러한 서적들을 치밀히 연구해 자발적으로 천주교를 수용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하였다.
이벽은 좀 더 높은 진리에 목말라 했다.1783년 이승훈(李承薰, 베드로·1756~1801)이 아버지를 따라 중국 베이징으로 들어가게 됐다는 소식을 듣고 그에게 천주교를 소개한다. 이벽은 이승훈에게 서양 선교사들을 중국에서 만나 교리를 배우고 세례를 받아 돌아올 것을 부탁했다. 문헌에 따르면, 이벽은 다음과 같이 이승훈에게 말했다고 한다.
“자네가 중국에 가는 것은 참된 교리를 위해 하늘이 주신 훌륭한 기회일세. 만물 창조주이신 천주를 공경하는 참다운 방식은 서양인들에게서 가장 높은 경지에 이르렀네. 그 도리가 없으면 우리는 아무것도 할 수 없고 자기 마음과 자기 성격을 바로잡지 못하네. 그것이 아니면 임금들과 백성들의 서로 다른 본분을 어떻게 알겠는가.”
이승훈은 이벽의 부탁대로 베이징에서 교리를 배우고 세례를 받은 뒤 1784년 돌아왔다. 이승훈 베드로로부터 천주실의, 기하원본과 같은 서학 서적과 망원경 등을 넘겨받은 이벽은 외딴 집을 세내고는 천주교 교리연구와 묵상에 몰두한다. 천주교 진리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얻게 된 그는 1784년 서울 청계천 수표교(水標橋)에 있던 자신의 집에서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고 복음 전파에 나선다. 이는 조선 최초의 세례식이었다. 최창현(崔昌顯), 최인길(崔仁吉), 김종교(金宗敎) 등 중인계급은 물론 정약전·약종·약용 형제 등 양반계층에도 복음을 전파하며 커다란 성공을 거둔다. 그러나 이 소식은 유림(儒林)의 귀에 들어가 거센 반발을 사게 된다. 천주교 교리가 당시 국가 지도이념인 성리학적 윤리체제를 송두리째 파괴할 것이라는 것이었다. 유림들은 이벽을 토론으로 설득해 천주교 전파를 그만둘 것을 종용하려 했지만 이벽의 논리 앞에 아무 말도 못하고 물러섰다고 전해진다.
당시 이벽의 부모는 이벽을 배교시키기 위해 처절하게 나섰다. 심지어 아버지는 목을 매 자살하려고까지 했다. 3개월에 걸쳐 문중회의가 열리기도 했다. 결국 이벽은 가족에 의해 자택 감금돼 외부와 모든 연락을 끊고 살 수밖에 없었다. 부모가 격노했다면 자식들은 며칠씩이나 식사를 하지 못하는 것이 당시 흔히 있는 일이었다. 스스로 식음을 전폐하고 기도에 열중하며 명상하던 그는 1785년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이벽의 말년 신앙에 대해 파리외방전교회 달레(Dallet) 신부는 「한국천주교회사」에서 배교로 단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부모에 대한 ‘효’를 절대적인 이념으로 하던 당시 상황을 고려할 때 단순히 배교라고 결론 내릴 수는 없다는 견해도 있다.
그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것은 이승훈의 유고집 「만천유고」(蔓川遺稿)에 수록된 ‘천주공경가’(天主恭敬歌), ‘성교요지’(聖敎要旨) 등이다.
이벽이 세례를 받고 조선인 신자 공동체를 이룩한 1784년을 한국교회가 한국 천주교 창설 원년으로 삼아 기념하고 있다.
'한국의 성인들 > 이벽 세례자 요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천주교의 선구자 이벽 세례자 요한(동영상 일대기) -은총의샘 (1) | 2023.10.19 |
---|---|
하느님의 종, 광암 이벽 세례자 요한 성조의 거룩하고 장렬한 최후- 변기영 몬시뇰 (1) | 2023.10.05 |
한국천주교회 창립자 이벽 세례자 요한 성조의 생애(1,2부) -변기영몬시뇰 (1) | 2023.10.05 |
이벽李檗 세례자 요한 - 조선 천주교 문을 연 첫번째 사람 (0) | 2023.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