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서신은 2024년 12월 3일 교황청 신앙교리성 부서 차관보 필리프 코르벨리에(Phillippe Corbelié) 대주교가 루이사 피카레타의 시복 시성 소송의 진행 사유와 그녀의 저술에 대해 프랑스 주교들에게 공식적으로 답변한 바티칸 신앙교리성의 공식문서입니다.
교황청 프랑스어 원문 문서. (PROT. N. 94/37 - 102675 )

< 한글번역 >

교황청 신앙교리부
00120 Citta del Vaticano
Palazzo del S. Uffizio
2024년 12월 3일
PROT. N. 94/37 - 102675
공경하는 몬시뇰님,
귀하께서는 2024년 10월 3일자 서신에서 프랑스 주교회의 교리위원회의 의장 자격으로서, 하느님의 종 루이사 피카레타의 글에 관한 추가적인 설명을 본 부서에 요청해 오셨습니다.
귀하의 요청에 답변드리는 가운데 다음 사항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a) 귀하께서도 아시다시피, 본 부서는 그 글 안에는 전해져서는 안 될 어떠한 교리상의 오류도 있지 않다는 점을 확인하는 가운데, 2024년 6월, 하느님의 종 루이사 피카레타의 시복 시성 소송의 지속적인 진행에 '오류 없음'을 부여하였습니다.
b) 루이사 피카레타의 서거 이후로 그녀의 글은 - 종종, 정통적이지 않은 해석으로 번역되거나 조작되기도 하면서 - 통제되지 않은 상태로 전파되는 일이 있었고, 때로는 이 하느님의 종에 대해 깊이 알지 못한 상태에서 하나의 신심 형태로 하느님 뜻 운동, 협회, 그룹들이 전 세계적으로 퍼져 나가는 일이 있었습니다.
c) 이 하느님의 종의 영성에 대한 잘못된 해석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 본 부서는 소송 청원자에게, 트라니-바를레타-비셀리에 대주교와 협력하여 루이사 피카레타의 글에 대한 공식적이고, 기준이 되며, 평론이 포함되어 있는 출판본을 주의를 기울여 만들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적절한 내용의 서론이나 머리말을 포함하고 있고, 하느님의 자비로운 사랑의 중요성을 명확히 강조하면서, 루이사 피카레타가 살았던 시대의 언어와 문화적 맥락의 영향을 받은 몇몇단락들이나 묘사들에 대해 설명을 해주는 주석들을 갖추고 있는 출판본 말입니다. 이 모든 일은 이 하느님의 종이라는 역사적 인물에 대한, 그리고 그녀의 카리스마와 영성에 대한 올바른 해석을 전달하기 위함입니다.
몬시뇰님, 상기 내용이 하느님의 종 루이사 피카레타의 글과 영성에 관련한 질문들을 해소하시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가장 깊은 공경을 드리며,
- 우티카 명의 대주교,
신앙교리성 차관 필립 퀴흐블리에
Phlippe Curbeli
(번역 이수현 요한 비오)
<영어 >
ddf-letter-to-french-bishops-status-of-luisa-piccarreta-with-eng-translation.pdf
<스페인어>
Aquí está la carta con traducción al español adjunta:
DICASTERIO_FE_LUISA_PICCARRETA_ESP[1]
Here is an official communication from the postulator of Luisa’s cause for beatification, Msgr Paolo Rizzi, from August 10, 2024
'사랑해요주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호천사 이야기] 천사들과 친구가 되세요! (엠마누엘 수녀님) (0) | 2025.02.27 |
---|---|
오직 의지만이 고통의 원천이다 - 시에나의 카타리나 '대화' (0) | 2025.01.28 |
2025년 정기 희년 의정부교구 전대사 수여 지침 (0) | 2025.01.11 |
(20181009)수원교구 체나콜로 대피정 강의/ 조반니 데르콜레(Giovanni D'Ercole) 주교님 (0) | 2024.10.30 |
[하느님의 신비로운 도성3] 47. 마리아와 요셉의 혼인 (0) | 2024.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