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WTN (전미 가톨릭 방송)의 2003년 하느님의 종 루이사 피카레타에 관한 기사 원문과 번역을 소개합니다.
Servant of God Luisa Piccarreta - 2003 EWTN Meeting | EWTN
Servant of God Luisa Piccarreta - 2003 EWTN Meeting | EWTN
EWTN is a global, Catholic Television, Catholic Radio, and Catholic News Network that provides catholic programming and news coverage from around the world.
www.ewtn.com
Servant of God Luisa Piccarreta - 2003 EWTN Meeting
하느님의 종 루이사 피카레타
Author: Colin B. Donovan, STL
2003 - EWTN Meeting in Atlanta with the Postulation of Luisa Piccarreta
아틀란타에서 루이사 피카레타 협회와의 만남
For several years an incongruity had existed between the fame of holiness of Luisa Piccarreta, which includes the canonization of one of her spiritual sons, St. Annibale de Francia, together the establishment of a Cause for her own beatification, and the confusion and controversy surrounding her name and spirituality,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지난 몇년동안 특별히 미국에서는 그녀의 영적 자녀들중 하나인 성 안니발레 데 프란챠의 시성을 포함한 그녀의 시복 재판 설립, 그녀의 명성과 영성을 둘러싼 논란이 그녀의 거룩함과 명성 사이에 부조화가 존재하였습니다.
It has never seemed justified to attribute this confusion to the Servant of God, but rather to poor translations, rash interpretations of her writings, and a lack of theological competence by some who try to explain her writings.
이 혼란을 하느님의 종의 잘못으로 돌리는 것은 결코 정당해 보이지 않으며, 오히려 서투른 번역들, 그녀의 저술에 대한 성급한 해석들, 그리고 그녀의 글들을 설명하려는 일부 사람들에 의한 신학적 역량의 부족 때문일것입니다.
For this reason, EWTN has always urged Catholics to use great caution, until such time as clarity could be brought to the situation by ecclesiastical authority.
이러한 이유에서 EWTN(전미가톨릭방송)에서는 교도권의 권한에 의해 상황이 명확해 질때까지 가톨릭 신자들에게 큰 주의를 기울일것을 권했습니다.
Toward this end, EWTN contacted the Holy See and the then Archbishop of Trani, Italy, Giovanni Picchierri, where Luisa lived and died and where in 1994 the Diocesan phase of a Cause for her Beatification was opened in 1994.
이를 위해 EWTN은 교황청과 루이사가 살고 사망했으며 1994년 그녀의 교구차원의 시복재판이 열렸던 이탈리아 트라니 지오반니 피끼에리 전임 대주교님과 연락을 취했습니다.
This contact resulted in a letter from the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as well as the sending of the Postulation's Promoter of the Faith, Father Bernardino Bucci, OFM Cap., to the United States.
이 연락으로 신앙교리성으로 부터 편지를 받았고 루이사 피카레타 협회 기획자이며 하느님뜻 가족 대표인 카푸친 작은형제회 베르나드로 부치 신부의 미국 파견의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His purpose was to answer EWTN's questions and to meet with various groups who promote the spirituality of Luisa Piccarreta.
그의 목적은 EWTN의 질문에 대한 답변과 루이사 피카레타의 영성을 홍보하는 다양한 단체과의 만남이었습니다.
His official capacity was certified by the Archdiocese in the CERTIFICATE he supplied.
그의 공식적인 지위는 그가 제공한 증명서를 통하여 대교구에 의해 증명되었습니다.
Deacon Bill Steltemeier, and myself (Colin Donovan), met with Fr. Bucci for several hours in Atlanta, during which time he answered our questions and provided the following important clarifications, many of them in writing (as documented below).
빌 스텔마이어와 저자 본인(콜린 도노반) 이 몇시간 동안 부시 신부를 아틀란타에서 만나는 동안 그는 우리의 질문들에 답하였고 다음과 같은 중요한 설명들을 제공하였는데 많은 부분들이 모두 문서화 되어 있었습니다.(아래 문서화됨)
I have summarized our meeting and the documents as follows:
나는 우리의 만남을 아래와 같이 요약 문서화 하였습니다.
1. The Servant of God 하느님의 종
Luisa Piccarreta lived a holy life of prayer and suffering, attested to by her contemporaries and with a fame of holiness to this day. She was always obedient and submissive to the Church in everything.
루이사 피카레타는 기도와 보속의 거룩한 삶을 살았으며 그녀의 거룩함의 명성은 오늘날까지 그녀의 동시대 사람들에 의해 증언되어졌습니다. 그녀는 항상 모든것에 있어서 교회에 순명했고 순종하였습니다.
This is precisely known, since from 1884 until her death in 1947 she was under the care of confessors appointed by her bishop.
이 사실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으며 1884년부터 그녀가 사망한 1947년까지 그녀는 그녀의 주교로부터 임명된 고해사제들의 돌봄 아래 있었습니다.
On this basis the Archbishop of Trani, with the permission of the Holy See, opened her Cause for Beatification in 1994. The investigation has confirmed these facts without any doubt.
이와 같은 근거로 트라니 대교구장은 교황청의 허락하에 그녀의 시복재판이 1994년에 열었습니다. 그 조사가 추호의 의심도 없이 이 모든 사실들을 확인해 주고 있습니다.
Any attribution of heterodoxy to her constitutes a grave injustice [cf. CLARIFICATIONS 1-6].
어떠한 그녀의 어떠한 이단적 귀속은 중대한 부당함에 해당됩니다.[설명 1-6]
Addendum: On October 29, 2005, Archbishop Pichierri declared the diocesan process of the Cause for the Beatification of the Servant of God favorably completed, and he committed the documentation to the Congregation for the Causes of the Saints for its Roman phase.
부록: 2005년 10월29일 삐끼에리 대주교께서는 교구 차원의 하느님의 종에 관한 시복재판이 긍적적으로 완료되었으며 그는 로마에서의 시복 재판 회부 문서 제출하였습니다.
2. Her Writings 그녀의 작품들
Writing under obedience, Luisa Piccarreta wrote two small texts Life of the Blessed Virgin and Hours of the Passion.
루이사 피카레타는 순명하에 두권의 작은 소품 동정마리아와 우리주 예수그리스도의 수난의 시간들을 집필하였습니다.
She later produced 36 numbered manuscripts, in which she elaborated what she received in prayer about living in the Divine Will.
그녀는 후에 36권의 번호가 매겨진 원고를 만들었는데 그 서적에서 하느님의 뜻안에 사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였습니다.
These texts were written in her region's dialect of Italian, rather than in standard Italian, a factor which complicates accurate translation of the sense of her writings.
이 글들은 그녀가 살던 지역 이탈리아 사투리로 쓰여졌고 이는 그녀가 쓴글의 의미에 대한 정확한 번역을 복잡하게 만들었습니다.
A number of the early volumes were reviewed, and published, by Saint Annibale de Francia (+1927), in his capacity as confessor and diocesan censor.
초기 집필된 서적은 교구 검열관과 고해사제의 자격으로 성 안니발레 디 프란차(+1927)에 의해 검토되고 출판되었습니다.
In 1938, however, this activity ended, when three of her works (annotated by another person) were put on the Index of Forbidden Books.
그러나 1938년 그녀의 작품 3점(다른 사람의 주석이 달림)이 금서목록에 오르면서 이 활동은 끝이 났습니다.
The balance of her writings were taken into custody by the Holy Office (now called the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or CDF), where they remained sequestered until 1994.
그녀의 나머지 저작물은 1994년까지 격리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교황청(지금의 신앙교리성 또는 CDF)에 의해 압류되었습니다.
In 1994, the Holy See authorized the Cause for the Beatification of Luisa Piccarreta, now designated Servant of God, by granting it the nihil obstat ("nothing stands in the way").
1994년, 교황청은 루이사 피카레타의 시복재판을 승인하였으며 출판인쇄허가 Nibil Obstat(방해요소 없음)을 승인함으로써 하느님의 종의 호칭을 부여하였습니다.
Retaining the original volumes, the Congregation allowed the Postulation to photocopy the writings for study, and for the production of a critical edition.
원본 서적들의 보존을 위하여, 교황청은 연구와 비평본 제작을 위하여 사진촬영을 이용한 복사를 허용하였습니다.
Some other copies of the writings, however, are in circulation, both from before 1938 as well as photocopied in 1994 from the editions held by the CDF.
그러나 1938년 이전의 저작물과 1994년 CDF가 보유한 판본을 복사한 저작물의 일부 사본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These latter have neither the approval or the imprimatur ("let it printed") of the Archbishop of Trani, who is the legal owner of Luisa's writings.
뒤의 것은 루이사의 저술의 법적 소유자인 트라니 대교구의 승인이나 인쇄허가(imprimatur)를 받지 않았습니다.
While the Archdiocese has allowed some small publishers in English to exhaust their stocks of the first two books (Life of the Blessed Virgin and Hours of the Passion), in the future the Archdiocese alone will produce the authorized translations of the writings, based on the critical edition.
반면에 대교구에서는 몇몇 영문 출판사들이 첫번째 두권의 책(동정 마리아 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의 시간들)을 다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지만 앞으로는 대교구만이 이 비평본을 바탕한 공식 번역본을 제작할 것입니다.
This edition will also contain explanatory theological notes.
이 버전에는 설명을 위한 신학적 주석 또한 포함될 것입니다.
The Postulation is not now granting, or encouraging, publication and promotion of the writings (except as noted above), so as not to create obstacles to the Cause. [cf. CLARIFICATIONS 7-9, 11, 14; and the COMMUNIQUE of 5 August 2003]
협의회에서는 시복재판의 장애물들을 만들지 않기 위해(위의 경우를 제외하고) 저술들에 대한 출판과 홍보를 현재 허용하거나 장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As for the status of the writings with the Holy See, the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affirmed the following in a letter to EWTN of 4 October 2003,
교황청 문서 현황에 대해서는 신앙교리성에서 2003년 10월4일 EWTN에 보낸 서한에서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습니다.
The writings of Luisa Piccarreta have not been judged by this Dicastery: as such they enjoy neither the official approbation, nor the official condemnation, of this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루이사의 저술은 법정으로 부터 단죄 받지 않았으며 신앙 교리성으로 부터 공식적으로 승인된것도 단죄된것도 아닌 상태입니다.
In fact, they are currently being studied, by reason of competence, by the Congregation for the Causes of Saints, after this Servant of God, independently of the content of her writings, received the nihil obstat of the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regarding her cause for beatification.
사실 루이사의 저술은 현재에도 권한의 이유로 시복재판으로 인한 연구가 진행중이며 하느님의 종의 저술이 신앙교리성으로 그녀의 시복재판과 관련하여 출판인쇄허가(Nihil Obstat)를 받은 이후입니다.
As such, the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makes, at this time, no pronouncement on the writings in question. 이와 같이 신앙교리성에서는 이 저술들의 질문에 대해서는 어떠한 공표도 하지 않습니다.
It should be noted that as of the close of the Diocesan phase of the Cause in October 2005, the typical edition of the writings had been prepared for delivery to the Congregation for the Causes of the Saints which, together with the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will review it.
2005년 10월 교구 단계의 시복재판이 종료함에 따라 저술 일반본은 시성성과 함께 신앙교리성으로 전달 검토될것이는것을 주목해야 합니다.
Only after review could the critical edition of the writings be publicly released. [CLARIFICATIONS 2-3,7-8]
검토 후에야 저술들의 비평본이 일반에 공개될수 있습니다. [설명 2-3,7-8]
3. Interpreting her Writings 그녀의 저술에 대한 해석
The Servant of God's writings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mind and teaching of the Church.
하느님의종의 글들에 대한 설명은 지성과 교회의 가르침에 따라서 가르쳐져야 합니다.
Even if they are ultimately judged to be of supernatural origin, they necessarily correspond also to the mystic's own mentality, which was that of a simple pious person and not a theologian.
비록 그들이 궁극적으로 초자연적인 기원으로 판단될지라도, 그들은 필연적으로 신학자가 아닌 단순히 경건한 사람인 신비주의자의 정신에 일치합니다.
In keeping with Catholic mystical theology, this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judging what she wrote down of her experiences.
가톨릭 신비주의신학에 따라, 그녀가 그녀의 경험을 기록한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At present there is not yet as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of her writings (see n. 2 above).
현재 그녀의 글에 대한 권위있는 해석은 아직 없습니다.(위의 2. 참조)
The Diocesan Process judged only her life and heroic virtues, and is preparing the critical edition of the writings with commentary, for the review of the Holy See, which alone can give a definitive judgment and explanation.
교구차원의 진행에서는 오직 그녀의 삶과 영웅적인 성덕들에 대해서만 판단하고 최종적인 판단과 설명을 해줄수 있는 교황청의 검토를 위해 주석이 달린 비평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4. Conferences 학회
In 1998 the now retired Archbishop of Trani, Carmelo Cassati, ordered the suspension in theUnited States of Divine Will Conferences, because of the controversies noted earlier.
1998년 지금은 은퇴하신 트라니 대교구 카멜로 카사티 대주교께서는 앞서 언급한 논란 때문에 미국에서 하느님의뜻 학회(대회)의 중단을 명령하셨습니다.
While this suspension no longer applies, the following statements govern conferences in the U.S. and throughout the world.
하지만 이 중단 명령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습니다. 다음의 성명은 미국과 전세계 학회(대회)에 적용됩니다.
a.
The Archbishop can only directly authorize priests under his authority, such as Fr. Bucci, to speak on Luisa and her spirituality.
대주교만이 그의 권한으로 부치 사제와 같이 루이사와 그녀의 영성에 관해서 가르칠 말할 수 있는 권한을 줄 수 있습니다.
However, priests who have a letter from their own Bishop permitting them to speak on Luisa, and who are conversant with both her writings and Catholic theology, can have their Bishop request a letter from the Archbishop of Trani which authorizes them to speak officially. 하지만 가톨릭 신학에 그녀의 저술과 가톨릭 신학에 정통한 사제는 루이사에 대해 말할 수 있도록 해당 교구의 주교에게 허락하에 공식적으로 루이사에 대해서 말할 수 있는 트라니 대주교에게 요청할 수 있습니다.
They can then present the Archbishop's letter to the bishops of locales where they wish to give conferences.
그런다음 그 사제들은 자신이 대회(모임)을 하고 싶은 지역의 주교들에게 대주교의 편지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b.
The Archbishop will only grant public speaking permission to priests, and then only about the life and virtues of the Servant of God. 대주교는 오직 사제들에게만 공개적인 연설을 허락할 것이며, 그 다음에는 하느님의 종의 삶과 성덕에 대해서만 허락할 것입니다.
Lay persons will no longer be permitted to teach publicly, either about the spirituality of the Divine Will, or regarding her life and virtues. All conferences presented by priests without this letter, or by laity, would not represent the Postulation.
평신도들은 더 이상 공개적으로 하느님의 뜻 영성이나 그의 삶과 성덕들에 대해서 가르치는것이 허락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 편지가 제시 되지 않은 사제들에 의해서 주관된 모임 또는 평신도에 의한 모든 학회(회의)는 협회를 대표하지 않습니다.
c.
While unable to regulate what local bishops might allow, the Postulation is discouraging Catholics from attending conferences given by individuals without a letter of authorization from the Archbishop of Trani, Italy. (cf. CLARIFICATIONS 14)
지역 주교들이 허락하는 것은 규제할 수 없지만, 이 협회는 가톨릭 신자들이 트라니 대주교의 승인서 없이 개인들이 주최하는 학회(회의)에 참석하는것을 막고 있습니다. (cf. CLARIFICATIONS 14)
5. Reading her Writings 그녀의 저술의 독서 While the Postulation does not have the authority to prohibit the reading of Luisa's writings that are in circulation, no one is permitted to publish her Diary of 36 volumes.
시복위원회는 유통중인 루이사의 글을 읽는것에 대해서 금지할 권한은 없지만, 아무도 그녀의 36권의 일기를 출판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Exceptions have been made for the following writings of Luisa: The 24 Hours of the Passion, The Virgin Mary in the Kingdom of the Divine Will, and her Letters, as well as for the works of Padre Bernardino Bucci about Luisa. 다음과 같이 루이사의 저술에 대해서는 예외가 있습니다. 수난의 시간, 하느님 뜻 동정마리아, 그녀의 편지들,베르나르디오 부치 신부님의 루이사와 관련된 작품들
Prayer groups are encouraged to study these approved books until such time as the official typical edition is published in conformity with the doctrine of the Church and the approval of the Congregation for the Causes of the Saints. [CLARIFICATIONS 8, 14] 기도 단체는 교회의 교리와 교회의 승인에 따라 공식 일반판이 출판될 때까지 승인된 이 책들을 연구하도록 권장됩니다. [설명 8, 14]
6. Prayer Groups 기도그룹
The Postulation encourages prayer groups in the various dioceses of the world, in order to spread Luisa's fame of holiness.
협회는 루이사의 거룩한 명성을 알리기 위해서 전세계 다양한 교구들에 기도모임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It especially desires that her great devotion to the Mother of God be imitated.
특별히 하느님의 어머니께 대한 그녀의 위대한 헌신이 닮아 가기를 바랍니다.
It urges, whenever possible, that groups be conducted under the guidance of a prudent priest of proven orthodoxy.
그리고 가능하다면 기도그룹들은 정식으로 인준된 신중한 사제의 지도아래 열리기를 권고합니다.
The supervision of prayer groups falls under the competence of each diocesan bishop.
기도 단체들에 대한 권한은 각 교구장 주교에 있습니다.
The Postulation also encourages prayer to Luisa, and the careful documentation and reporting of any favors received through the intercession of the Servant of God.
또한 상위 단체는 루이사에게 기도 할것과 루이사의 전구를 통해 받은 은총들에 대해서 신중히 작성된 문서로 보고해 주기를 권장합니다.
However, in keeping with the norms of the Holy See, while there may be private prayer and veneration (i.e. outside the church setting), there must be no public veneration (cultus) of Luisa, as would be given to a blessed or saint (public liturgies or devotions, images in churches, etc.)
하지만 교황청의 규범에 따라 사적인 기도와 공경만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른 복자나 성인에게 주어지는(공적인 예배들 또는 기도들, 교회안에 사진들)어떤 공적인 루이사에 대한 공경은 있어서는 안됩니다.
This would constitute a grave obstacle to the Cause, as it belongs to the Holy Father alone, with the Beatification of an individual, to permit public veneration. [cf. CLARIFICATIONS 10, 12-13]
개인의 시복과 공적 공경의 허용은 오직 교황성하에게만 소속되어 있기에 이것들은 시복재판에 크나큰 장애물이 될 것입니다. [cf. 설명 10, 12-13]
기사출처: Servant of God Luisa Piccarreta - 2003 EWTN Meeting | EWTN
'사랑해요주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회칙]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Deus Caritas Est) (0) | 2023.01.13 |
---|---|
예화로 엮은 가톨릭교리 3. 견진 성사 (0) | 2023.01.13 |
베네딕토 16세 교황님 장례식때 하늘에 나타난 십자가 사진! (0) | 2023.01.11 |
“제 자신의 빛이 아닌 그리스도의 빛을 비추는 것” (0) | 2023.01.09 |
예화로 엮은 가톨릭교리 2. 세례 성사 (0) | 202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