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11] 세례명 '글라라'에는 어떤 뜻이 담겨져 있을까요? - 박 루케시오 신부
박 루케시오 신부의 Bible & Life
로마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에서 성서신학 교수자격증(S.T.L. in TB)을 취득한 박 루케시오 신부의 성경블로그.
luceofm.blogspot.com
앞에서 프란치스코란 이름의 영성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그래서 그 이름 안에는 '자유'가 숨어있다는 사실을 잘 알았습니다. 그렇다면, 프란치스코와 항상 함께 등장하는 이름이 바로 '글라라'입니다. 아씨시의 성녀 글라라, 성 글라라 봉쇄수도원의 창립자, 전세계에서 가장 큰 여성봉쇄수도원을 지칭하는 성 글라라 수도원의 최초의 영적 어머니, 이 글라라란 이름의 뜻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란치스코도 그러했듯이, 글라라라는 이름도 라틴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두 사람 모두 12~13세기 중세의 인물이었기 때문에, 구약의 히브리어나 신약의 그리스어가 아닌 대중적인 라틴어로부터 이름을 따왔던 것입니다. 라틴어로 보면, 이 글라라는 철자가 Clara입니다. 이는 남성형용사 Clarus의 여성형입니다. 그래서 Clara입니다. 다시 이 형용사의 뜻을 살펴보면, 'transparent, clear"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라틴어 Clara가 스페인어로 와서는 그대로 Clara라고 표기합니다. 그리고 재미있는 것이 계란의 흰자 부분을 두고 'clara'라고 표현한다고 합니다. 투명함이 백색으로도 이어지는 것입니다. 이태리어로는 Chiara (끼아라), 프랑스어로는 Clare (끌레르), 영어로 Clare (클레어)로 표기하고 발음합니다. 독일어로는 Klara라고 하고, 참고로 독일어에서는 '설명'이라는 명사가 Erklärung이라고 하여서, 상대를 두고 명료하게 만드는 것을 두고 '설명'이라고 정의하는 독일어식 뉘앙스를 느낄 수 있습니다.
현대의 국문표준법상, 우리나라의 첫 음절은 ㅋ, ㅌ, ㅍ 등은 그보다 약한 소리인 ㄱ, ㄷ, ㅂ로 표기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원래는 '클라라'가 되겠지만, 한국표준법에 따라서 '글라라'가 됩니다. 같은 경우로 Petrus, Paulus '페트루스' '파울루스'가 라틴어로 올바른 표기이지만, 우리는 '베드로' '바오로'로 표기하고 부르고 있는 것도 동일한 원칙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투명과 순백을 가진 여인의 이름인 '글라라'는 어떤 길을 '걸'어야 하는 것일까요? 우선 '순백의 믿음'을 지녀야합니다. 글라라 성녀는 십자군 전쟁 시기에 살았던 인물입니다. 그래서 오스만 투르크(이슬람) 사람들이 수녀원을 향해 처들어올 때에 자매들의 요청을 받습니다. 우리가 피신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말입니다. 그러나 글라라는 '순백의 믿음'을 지녔습니다. 다시 말해, 한치의 의심도 하지 않고 믿었습니다. 주님께서 보호해주실 것이라고 말입니다. 그래서 '순백'의 성체가 모셔진 성광을 들고 창밖을 향해서, 처들어오던 이슬람 사람들을 향해 성광을 보였습니다. 그랬더니 그들이 자기들의 걸음을 멈추고 물러갔다고 합니다. 그래서 글라라 성녀를 두고 '순백의 믿음, 순백의 성체기적'을 가진 성녀라고 합니다. 오늘날도 성녀를 표현할 때에 성광을 자주 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글라라수도원에서 성체공경신심은 가장 첫머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명한 지성'을 갖고 신앙을 제대로 이해하였다는 점입니다. 글라라는 원래가 귀족의 딸로서, 아주 고매한 지성을 지니고 있었던 여인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프란치스코를 만나서, 밤에 자기집을 몰래 나와서 프란치스코를 찾아가 삭발례를 거치고, 프란치스코의 첫번째 여제자가 되었던 것입니다. 이후 항상 신앙 속에서 우애를 나눴습니다. 혹자는 둘 사이를 두고 흔히 드라마에서 그리는 로맨스가 있었지 않겠느냐고 하는데, 거기에 포커스를 두고 싶지는 않습니다. 설령 그럴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문제의 본질이요 핵심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프란치스코의 가르침을 항상 곁에서 이해하고 해석하다보니, 프란치스코의 가르침을 그 누구보다도 투명하게, 올바르게 이해한 '지성'이었다고 평가를 내리고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그리스도교 여인들 가운데 완덕을 살아낸 성녀로 시성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글라라라는 이름에는, 주님의 도움으로 신앙을 '투명하게 이해하는 지성'을 갖추는 길로 걸어가는 뜻도 포함되어 있다고 믿습니다.
무엇보다도 '용감하고 지혜로운 여인'이라는 길이 떠오릅니다. 교황에게까지도 굽히지 않으면서, 원초에 프란치스코가 원했던 복음정신의 근본적 실천을 위해 용감하면서도 지혜롭게 교황청과 맞섰습니다. 그리고 마침내는 자신의 친필로 작성한 '가난의 특전' 회칙을 들고, 교황청의 인준을 받은 후에 선종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녀를 두고 '용감하면서도 지혜로운 믿음의 여인'으로 보는 것은 올바른 해석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처럼 글라라라는 이름 속에는 '순수한 믿음, 투명한 갈망, 지혜에 대한 사랑'이라는 '믿음, 희망, 사랑'이 다 포함되어 있는 것입니다. 누구든지 이 이름을 자신의 세례명으로 삼는 자매님이라면, 언제나 신앙 속에서 굳건하게, 용기있게, 사랑스럽게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길을 걷도록 주님께 도움을 청해야 하리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 작은 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순교성인관구 소속 박희전 루케시오 신부
출처 ['이름' 속에 '영성'이 있다 11] 세례명 '글라라'에는 어떤 뜻이 담겨져 있을까요? (luceofm.blogspot.com)
라틴어사전
latina.bab2min.pe.kr/xe/lk/clarus
clārā 고전 발음: [클라:라:] 교회 발음: [클라:라:]
clārā
밝히다, 밝게 하다, 반짝이다
동사 clārō의 명령법 현재 미완료 능동 2인칭 단수
(clārus의 여성 단수 탈격형) 밝은 (이)로
뜻
- 밝히다, 밝게 하다, 반짝이다
- I brighten, lighten or illuminate
- I clarify (make clear, explain)
- (clārus의 여성 단수 주격형) 밝은 (이)가
- (clārus의 여성 단수 호격형) 밝은 (이)야
- (clārus의 중성 복수 주격형) 밝은 (것)들이
- (clārus의 중성 복수 대격형) 밝은 (것)들을
- (clārus의 중성 복수 호격형) 밝은 (것)들아
clārus
1/2변화 형용사; 상위1000위 고전 발음: [클라:루스] 교회 발음: [클라:루스]
기본형: clārus, clāra, clārum
어원: 1 CAL-
뜻
- 밝은, 맑은, 청명한, 빛나는
- 명성 있는, 유명한, 이름 높은
- 곧게 선, 정직한, 훌륭한, 평판있는
- clear, bright
- renowned, famous
- upstanding, respected
격변화 정보
1/2변화
남성 | 여성 | 중성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 | clārus밝은 (이)가 | clārī밝은 (이)들이 | clāra밝은 (이)가 | clārae밝은 (이)들이 | clārum밝은 (것)가 | clāra밝은 (것)들이 |
속격 | clārī밝은 (이)의 | clārōrum밝은 (이)들의 | clārae밝은 (이)의 | clārārum밝은 (이)들의 | clārī밝은 (것)의 | clārōrum밝은 (것)들의 |
여격 | clārō밝은 (이)에게 | clārīs밝은 (이)들에게 | clārae밝은 (이)에게 | clārīs밝은 (이)들에게 | clārō밝은 (것)에게 | clārīs밝은 (것)들에게 |
대격 | clārum밝은 (이)를 | clārōs밝은 (이)들을 | clāram밝은 (이)를 | clārās밝은 (이)들을 | clārum밝은 (것)를 | clāra밝은 (것)들을 |
탈격 | clārō밝은 (이)로 | clārīs밝은 (이)들로 | clārā밝은 (이)로 | clārīs밝은 (이)들로 | clārō밝은 (것)로 | clārīs밝은 (것)들로 |
호격 | clāre밝은 (이)야 | clārī밝은 (이)들아 | clāra밝은 (이)야 | clārae밝은 (이)들아 | clārum밝은 (것)야 | clāra밝은 (것)들아 |
원급 | 비교급 | 최상급 | |
형용사 | clārus밝은 (이)가 | clārior더 밝은 (이)가 | clārissimus가장 밝은 (이)가 |
부사 | clārē밝게 | clārius더 밝게 | clārissimē가장 밝게 |
제시된 형태 중 음영이 칠해진 것은 실제 코퍼스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규칙에 의해 자동 생성된 것입니다.
예문
- Oculi enim Israel caligabant prae nimia senectute, et clare videre non poterat. Applicitosque ad se deosculatus et circumplexus eos (Biblia Sacra Vulgata, Liber Genesis, 48 48:10)
- 그런데 이스라엘은 나이가 많아 눈이 어두워서 앞을 볼 수 없었다. 요셉이 아이들을 가까이 데려가자, 이스라엘은 그들에게 입 맞추고 끌어안았다. (불가타 성경, 창세기, 48장 48:10)
- sin autem in loco suo macula steterit non satis clara, tumor combustionis est, et idcirco mundabit eum, quia cicatrix est combusturae. (Biblia Sacra Vulgata, Liber Leviticus, 13 13:28)
- 그러나 얼룩이 한 곳에 머물러 살갗에 더 번지지 않고 수그러졌으면, 그것은 화상에서 생긴 부스럼이다. 그것은 화상 자국이므로 사제는 그를 정결한 이로 선언한다. (불가타 성경, 레위기, 13장 13:28)
- pauca tamen verba singultim locūtus, nōn dīxit sē clārō patre nātum esse, sed quod erat nārrāvit. (Oxford Latin Course III, Quīntus Maecēnātī commendātur 43:22)
- (옥스포드 라틴 코스 3권, 43:22)
- praetereā pater eius erat vir īnsignis, quī cōnsul fuerat et clārus ōrātor. (Oxford Latin Course II, Marcus Quīntum domum suam invītat 21:12)
- 게다가 그의 아버지는 집정관이자 명성있는 연설가였던 유명한 남자였다. (옥스포드 라틴 코스 2권, 21:12)
- Cumque loqueretur Saul ad sacerdotem, tumultus maior fiebat in castris Philisthinorum, crescebatque paulatim et clarius reboabat. Et ait Saul ad sacerdotem: " Contrahe manum tuam ". (Biblia Sacra Vulgata, Liber I Samuelis, 14 14:19)
- 사울이 사제에게 말하고 있는 동안에도 필리스티아인들의 진영에서는 소란이 더욱 심해졌다. 그래서 사울은 사제에게 “그만두시오.” 하고 말하였다. (불가타 성경, 사무엘기 상권, 14장 14:19)
- Post illos autem dies rediit unusquisque in hereditatem suam, et Iudith abiit in Betuliam et demorata est in possessione sua. Et facta est secundum tempus suum clara in omni terra, 이 기간이 끝난 다음에 사람들은 저마다 제 상속 재산이 있는 곳으로 돌아갔다. 유딧도 배툴리아로 가 자기 소유지에서 살았다. 그는 여생 동안 온 나라에서 존경을 받았다.(불가타 성경, 유딧기, 16장21)
- Clara est et, quae numquam marcescit, sapientia; et facile videtur ab his, qui diligunt eam, et invenitur ab his, qui quaerunt illam.
- 지혜는 바래지 않고 늘 빛이 나서 그를 사랑하는 이들은 쉽게 알아보고 그를 찾는 이들은 쉽게 발견할 수 있다.(불가타 성경, 지혜서, 6장12)
유의어
- 밝은
- albus (밝은, 명백한)
- candidus (밝은, 눈부신, 빛나는)
- sūdus (맑은, 밝은, 빛나는)
- dīlūcidus (맑은, 밝은, 빛나는)
- lūcibilis (맑은, 밝은, 빛나는)
- praeclārus (매우 맑은, 매우 깨끗한, 매우 밝은)
- limpidus (맑은, 밝은, 빛나는)
- lūcidus (밝은, 맑은, 투명한)
- claripennis (having a clear or bright wing or fin, or clear or bright feathers)
- 명성 있는
- glōriōsus (유명한, 저명한)
- celeber (유명한, 저명한, 구별되는)
- praeclārus (유명한, 명성이 있는)
- fāmōsus (유명한, 저명한, 구별되는)
- inclutus (유명한, 저명한, 화려한)
관련어
명사
형용사
- illustris (밝은)
- ēgregius (뚜렷한)
- spectābilis (보이는)
동사
'★ 성인 성녀 > 성녀 글라라 st.Cla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녀 글라라의 생애 (0) | 2016.06.18 |
---|---|
성녀 글라라의 영성- 김찬선(레오나르도) OFM (0) | 2015.09.01 |
성녀 클라라께 드리는 기도 (0) | 2015.04.24 |
피조물의 노래 - 성 프란치스코 (0) | 2014.09.18 |
피해야 할 죄, 질투에 대하여. - 성 프란치스코 영적권고 8 (0) | 2014.01.26 |